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계산하는 방법
법정수당인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나 야간연장근로를 하면 시간외 수당을 주어야 합니다.
연장근로수당이란 법정기준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해 지급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회사에 따라서 연장근로를 잔업이나 ot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연장근로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통상시급에 연장근로를 곱한 다음 1.5배를 하여 산정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하나하나 짚어드리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에 관한 법조문](https://blog.kakaocdn.net/dn/bi08Ek/btrnB9onj4Y/6XdOMh980EoUcgYVPekplk/img.jpg)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보면 연장근로를 하면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에 대해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야간근로에 대해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연장, 야간, 휴일 근로에 대한 수당을 법정제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및 209시간의 의미
월급을 계산할 때 최저시급만 안다고 되는것은 아닙니다. 주휴수당 계산법과 월급계산을 할 때 필요한 209시간은 도대체 무엇인지 원리를 알아야 하는 것이죠. 원리만 알면 다음부터는 아주 쉽
cmg300.tistory.com
연장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 계산방법
![](https://blog.kakaocdn.net/dn/Uleul/btrnPLyKjPT/F9S9E4ew0RfvBn6WEmUQXk/img.jpg)
휴일근로수당
![](https://blog.kakaocdn.net/dn/cEWXYF/btrnDGzt2kg/E9QeKAZk5gA9PxvFVoM3b1/img.jpg)
야간근로수당
이 글과 함께 읽어보면 좋은 정보 추천!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필수 기재사항 확인
2021년 11월 19일부터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가 시행됩니다. 임금명세서에 필수로 들어가야 하는 사항은 무엇이고 예외사항 및 과태료는 얼마나 되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임금명세서
cmg300.tistory.com
계약직 연차휴가에 대한 대법원과 고용노동부의 입장 정리
2021년 10월 14일 대법원의 판결로 인해 1년 계약직 근로자의 연차휴가에 대한 대법원과 고용노동부의 입장이 반대의견으로 갈리게 되었습니다. 근로기준법이 2017년에 개정된 이후 1년간 근무한
cmg300.tistory.com
주 52시간 근무제의 모든 것 A부터 Z까지
근로기준법에 의해 정해져 있는 근로시간의 의미와 주 52시간 근무제 즉 계산방법은 어떻게 되고 주 52시간 근무제를 위반하는 경우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이 글 하나로 명확하게 알려드리겠
cmg300.tistory.com
댓글